리눅스에서 돌아갈 수 있는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를 해보려고 한다.
언리얼 공식 문서를 참고해서 수행했다.
언리얼 공식문서를 열람할 때 최신 버전일수록 한글로 작성된 글에 누락된 사항이 많다.
되도록 영문으로 작성된 버전을 열람하도록 하자.
내가 첨부한 부분 또한 한글 버전과 영문 버전의 내용이 다르다. 영문 버전을 참고하였다.
내가 사용하는 언리얼 버전은 5.5 버전으로, 언리얼에서 권장하는 운영체제, 컴파일러, 크로서 컴파일 툴체인을 사용했다.
첨부한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버전 히스토리에 다른 버전의 권장 사항도 존재하니 참고하시길..
Ubuntu 22.04를 다운받도록 하자.
마이크로 소프트 스토어에서 다운받을 수 있다!
우분투는 서버 빌드 자체에서 사용되진 않는다. 빌드된 파일이 실행될 환경에 대한 권장사항임.
다음은 툴체인을 다운받도록 하자.
버전 히스토리의 이 부분을 클릭하면 다운로드 된다.
이 팝업 화면이 뜨고 next 버튼을 누르면 아래 사진처럼 화면이 변경되고 다운로드 된다.
다운로드 중..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는지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다.
cmd에
echo %LINUX_MULTIARCH_ROOT%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본인이 설정한 파일 디렉터리에 선택한 버전이 출력되었다면 그것은 성공한 것!
나의 경우 이와 같이 출력되었다.
다음은 빌드된 엔진 에디터가 필요하다.
나는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용으로 리눅스 개발 환경을 세팅하는 것이기 때문에, 소스코드 빌드로 진행하겠다.
위 링크의 언리얼 공식 문서에 의하면 단순 리눅스 빌드는 에디터만으로도 가능하다고 한다.
이 링크를 참고하면 된다.
2025.02.08 - [Unreal Engine] - 언리얼 엔진 에디터 빌드
언리얼 엔진 에디터 빌드
오늘의 교훈 : 주의사항을 "잘" 읽어볼 것.대충 하다가 다렉을 못찾고.. SDK 문제니 뭐니 다 다운받았는데도 GenerateProjectFiles 배치파일 실행하는 데에서 에러가 발생해서 다시는 이런일을 겪지 않
zinistic.tistory.com
내가 실수한 부분을 적어둔 링크도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엔진 컴파일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자신의 프로젝트의 솔루션에서 리눅스 서버 빌드를 수행하면 된다.
앞으로의 과정은 윈도우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의 과정과 별반 다르지 않다.
2025.06.30 - [Unreal Engine] -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
내가 헷갈렸던 부분들을 집중적으로 적어서 올리려고 한다. https://dev.epicgames.com/documentation/ko-kr/unreal-engine/setting-up-dedicated-servers-in-unreal-engine?application_version=5.0 공식 문서 5.0 버전이 가장 상세히
zinistic.tistory.com
상세한 설명을 원한다면 이 글을 참고하면 된다. (리눅스 버전으로만 진행되면 됨.)
Development Server / Linux 로 설정하고 솔루션 빌드를 수행하면 된다.
솔루션 빌드가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면, Binaries 파일에 Server 관련 파일이 생성되었을 것이다.
그럼, 다시 구성을 Development Editor, Win64 로 바꿔서 에디터를 실행시키자.
리눅스 플랫폼을 선택해서 패키징을 진행하면 된다!
(프로젝트가 많이 진행된 상황이고, 리눅스 서버 빌드가 처음이라면 이 과정이 매우 오래걸린다. )
패키징이 성공했다면
패키징된 파일을 생성하도록 선택한 폴더에
이러한 파일들이 생성되어 있을 것이다!
윈도우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를 수행해봐서 크게 어렵진 않았다!
그럼 20000~~
** 오류 지적은 환영입니다.^^ **
'Unreal Eng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리얼 엔진 데디케이티드 서버 빌드 (0) | 2025.06.30 |
---|---|
언리얼 엔진 에디터 빌드 (0) | 2025.02.08 |